본문 바로가기
포켓몬고/포켓몬

[포켓몬고] 비나방 (졸업스킬, 리그순위, 티어, 진화)

by yum-yum 2025. 3. 25.
반응형

 

오늘 알아볼 포켓몬은 비나방입니다.

비나방는 벌레, 비행 속성을 가진 포켓몬으로 비구술가 진화한 형태입니다.

 

비나방 진화

 

 

비구술 -> 비나방 (사탕 50개)

 

거리=사탕 : 1km=1개

해방 비용 : 별의모래 10,000개, 사탕 25개

 

색이 다른 비구술 이로치는 색이 진해집니다.

색이 다른 비나방 이로치는 연두색입니다.

 

비나방(Masquerain) 스펙

 

 

 비나방
속성  벌레, 비행
공격  192
방어  150
체력  172
최대CP (100) 2,271(레벨 40)
2,567(레벨 50)
약점 속성 바위 (2.56배)
비행, 불꽃, 전기, 얼음 (1.6배)
강점 속성 벌레 (0.63배)
격투, 풀 (0.39배)
땅 (0.24배)
노말 어택 (* : 레거시)  에어슬래시, 엉겨붙기
스페셜 어택 (* : 레거시)  괴상한바람, 에어커터, 은빛바람, 거품광선, 덤벼들기
날씨 부스트 비, 강풍

● 비나방 100

날씨 부스트 안 받을 때(레벨20) - CP 1,297

날씨 부스트 받을 때(레벨25) - CP 1,622

 

 

비나방 졸업스킬

 

● 비나방 졸업스킬

졸업 스킬 노말 어택 스페셜 어택
레이드 / 체육관 PVE 에어슬래시  에어커터
리그 PVP 에어슬래시  에어커터, 덤벼들기

 

PVE

  비나방의 PVE 관점에서 가장 좋은 노말어택은 에어슬래시, 스페셜어택은 에어커터입니다. 두 기술 조합은 비교적 빠르게 적의 체력을 삭감하면서 안정적으로 화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체 비행 타입 포켓몬과 비교하면 공격력 한계가 다소 낮은 편이니, 보스 등 강한 상대를 단독으로 상대하기엔 부족한 면이 있습니다. 그래도 벌레·비행 특성을 활용하면 일부 약점 상성을 노려볼 수 있으므로, 팀 보강용으로는 꽤 재미있는 활용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공격 기술

에어슬래시는 DPS 측면에서 엉겨붙기보다 훨씬 뛰어납니다만, 후자는 비나방의 “베스트” 차지 기술과 같은 벌레 타입이라는 이점이 있습니다. 은빛바람은 STAB를 받는 3게이지 차지 기술이라 반복 타격 면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덤벼들기는 벌레 기술이지만 위력이 더 약합니다. 한편 에어커터, 거품광선, 괴상한바람은 공격 시 큰 의미를 갖지 못합니다.

방어 기술

방어 시에는 에어슬래시엉겨붙기보다 피해량 면에서 우세합니다. 차지 기술 중에서는 은빛바람이 가장 높은 잠재 대미지를 내며, 그 뒤로 괴상한바람이 뒤따릅니다. 덤벼들기는 효율이 떨어지며, 거품광선은 위력이 낮지만 타입 자체는 어느 정도 이점이 될 여지가 있습니다. 한편 에어커터는 방어에서 딱히 유의미하지 않습니다.

PVE 총평

비나방은 화려한 외형을 지닌 포켓몬이지만, 공격 스탯과 기술이 다소 아쉽습니다. 벌레·비행 타입 특성상 바위, 얼음, 전기, 불꽃 등에 약점을 크게 지니기에, 높은 단계 레이드 보스를 공략하기는 어려운 편입니다. 벌레 타입 내에서도 독보적인 강점을 갖춘 능력치나 기술 구성이 있는 편이 아니라, 전반적인 활용도는 제한적입니다.

 

 

PVP

  비나방의 PVP에서는 에어슬래시 노말어택과 에어커터, 덤벼들기 스페셜어택 조합이 주로 사용됩니다. 벌레 타입 특유의 디버프를 노리는 전술도 가능하지만, 전체적인 내구와 공격 성능이 뛰어난 편은 아니어서, 큰 역할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도 적당히 약점을 노리거나 상대의 능력치를 끌어내리는 데 쓰이면 나쁘지 않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추천 기술 조합

에어슬래시 or 엉겨붙기 + 덤벼들기 + 에어커터

에어슬래시 혹은 엉겨붙기 + 덤벼들기에어커터는 자체 대미지가 강력하지만, 비나방의 차지 기술들이 전반적으로 그리 좋지 못하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엉겨붙기는 에너지를 좀 더 빠르게 모으지만, 충전 후 사용할 만한 차지 기술의 효율도 부족한 것이 현실입니다. 그중 덤벼들기는 괜찮은 벌레 STAB 대미지에 상대의 공격력을 확정적으로 낮추는 이점을 제공합니다. 거품광선도 더 적은 에너지로 공격력을 낮출 수 있지만 위력이 지나치게 약합니다. 은빛바람 역시 효과가 떨어지며, 10% 확률로 능력치가 상승해도 의존하기 어렵습니다. 에어커터는 요구 에너지가 많아 효율이 떨어지지만, 적어도 STAB를 얹을 수 있다는 점이 나은 편입니다.

 

리그 순위 (PVP)

 

슈퍼 리그 (Great League)

[평점: ★☆☆☆☆ (1/5)]

비나방은 주로 상대의 공격력을 낮추는 역할에 집중합니다. 이는 교체 타이밍을 잘 이용하면 가끔 쓸 만하긴 합니다만, 사실 디버프만을 노리는 포켓몬은 구조상 단순 교체로 상대 디버프가 사라지는 경우가 많아 실효성이 떨어집니다. 결과적으로 비나방이 이득을 전혀 못 본 채로 끝나는 상황도 빈번합니다. (슈퍼리그 774위)

하이퍼 리그 (Ultra League)

[평점: ☆☆☆☆☆ (0/5)]

버프를 받아도 비나방은 하이퍼 리그에서 경쟁력이 충분치 않습니다. 잠시 반짝할 여지가 있어도 상위권과 격차가 너무 큽니다.  (하이퍼리그 X위)

마스터 리그 (Master League)

[평점: ☆☆☆☆☆ (0/5)]

아무리 조건이 좋아져도 비나방은 마스터 리그에서 경쟁하기 어렵습니다. 전성기를 가정해도 강호들과의 격차가 큽니다.  (마스터리그 X위)

 

 

 

레이드 / 체육관 (PVE)

 

 

비나방의 레이드·체육관에서는 에어슬래시에어커터를 주로 쓰게 됩니다. 이때 에어슬래시의 높은 DPS로 평타 대미지를 확보하고, 에어커터의 비행 STAB을 통해 안정적인 화력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벌레·비행 타입 특성상 바위, 전기, 얼음 등의 빈번한 공격에 크게 약하니, 단독으로 공격을 맡기에는 힘겨운 상대가 많습니다. 티어로 보자면 상위권 공격수들은 아니며, 고난도 레이드나 체육관을 빠르게 돌파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대신 벌레 타입으로서 상대 격투·풀 등에 대항할 수 있으므로 특정 상황에서는 의외로 도움이 됩니다. 방어측으로 배치해도 의외성을 노릴 수 있지만, 역시 내구와 스킬 효율이 부족해서 수비 효율이 높다고 하긴 어렵습니다. 이러한 요인들 때문에 전반적으로 C~D급 정도의 취급을 받으며, 팀 보강용으로 쓰이거나 도감용을 넘어서는 활약은 드문 편입니다. (벌레 속성, 비행 속성 모두 3티어 이하)

 

필드 100 비나방 (CP테이블)

 

LVL Max CP LVL Max CP LVL Max CP
1 32 CP 2 100 CP 3 169 CP
4 237 CP 5 306 CP 6 374 CP
7 443 CP 8 511 CP 9 580 CP
10 649 CP 11 713 CP 12 778 CP
13 843 CP 14 908 CP 15 973 CP
16 1038 CP 17 1103 CP 18 1167 CP
19 1232 CP 20 1297 CP 21 1362 CP
22 1427 CP 23 1492 CP 24 1557 CP
25 1622 CP 26 1687 CP 27 1751 CP
28 1816 CP 29 1881 CP 30 1946 CP
31 1979 CP 32 2011 CP 33 2043 CP
34 2076 CP 35 2108 CP 36 2141 CP
37 2173 CP 38 2206 CP 39 2238 CP
40 2270 CP 41 2299 CP 42 2328 CP
43 2358 CP 44 2387 CP 45 2416 CP
46 2446 CP 47 2476 CP 48 2506 CP
49 2536 CP 50 2567 CP    

 

총평

 

 

PVP

비나방의 PVP 운용은 주로 디버프 활용과 벌레·비행의 변칙적 상성에 의존합니다. 에어슬래시로 안정적인 평타 대미지를 주고, 에어커터덤벼들기로 상대를 흔드는 식입니다. 하지만 디버프 전략을 쓰더라도 교체 한 번에 허사가 되기 쉬워서, 성능을 온전히 살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때문에 티어는 높지 않으며, 특정 상황에서 놀라운 역전극을 노리는 정도로만 활용할 만합니다.

PVE

비나방은 레이드·체육관에서 활약하려면 적절한 속성 상성에 기대야 합니다. 에어슬래시에어커터 조합은 비행 시너지를 내지만, 벌레 타입 특유의 약점이 많아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벌레 타입 동료들 중에서도 최상급 화력을 지닌 포켓몬이 아니라, 빠른 보스 공략은 어렵습니다. PVE에서 화려한 역할을 기대하기보단, 상황에 따라 벌레나 비행이 필요한 보강용 정도로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