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알아볼 포켓몬은 스왈로입니다.
스왈로는 노말, 비행 속성을 가진 포켓몬으로 테일로가 진화한 형태입니다.
스왈로 진화

테일로 -> 스왈로 (사탕 50개)
거리=사탕 : 1km=1개
해방 비용 : 별의모래 10,000개, 사탕 25개
색이 다른 테일로 이로치는 초록색입니다.
색이 다른 스왈로 이로치도 초록색이네요.
스왈로(Swellow) 스펙

스왈로 | |
속성 | 노말, 비행 |
공격 | 185 |
방어 | 124 |
체력 | 155 |
최대CP (100) | 1,920(레벨 40) 2,170(레벨 50) |
약점 속성 | (2.56배) 바위, 전기, 얼음 (1.6배) |
강점 속성 | 벌레, 풀 (0.63배) 땅, 고스트 (0.39배) |
노말 어택 (* : 레거시) | 날개치기, 강철날개 |
스페셜 어택 (* : 레거시) | 제비반환, 브레이브버드, 불새 |
날씨 부스트 | 약간구름, 강풍 |
● 스왈로 100
날씨 부스트 안 받을 때(레벨20) - CP 1,097
날씨 부스트 받을 때(레벨25) - CP 1,371
스왈로 졸업스킬
● 스왈로 졸업스킬
졸업 스킬 | 노말 어택 | 스페셜 어택 |
레이드 / 체육관 PVE | 날개치기 | 불새 |
리그 PVP | 날개치기 | 불새, 브레이브버드 |
PVE
스왈로의 PVE에서 최고 DPS를 보장하는 기술 조합은 날개치기와 불새입니다. 두 기술 모두 비행타입 보너스를 받아 순발력과 누적 피해에서 준수한 효율을 보여줍니다. 레이드나 체육관 배틀에서도 빠른 선제공격과 짧은 차지 모션 덕에 안정적으로 화력을 쌓을 수 있어, 이 구성이 가장 높은 딜량을 기대하게 해줍니다.
공격 기술
공격 기술을 사용할 때에는 날개치기가 STAB 덕분에 강철날개보다 조금 더 뛰어난 화력을 보여줍니다. 또한 브레이브버드는 충전 속도가 느려서 연속 공격이 중요할 때는 제비반환이나 불새를 사용하는 편이 안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방어 기술
방어 시에는 날개치기나 강철날개를 쓰더라도, 스왈로가 한 번의 차지 공격에 쓰러질 가능성이 커서 큰 차이가 없습니다. 차지기를 발동하기 전에 쓰러질 확률이 높지만, 그나마 시도한다면 제비반환을 사용할 기회가 가장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PVE 총평
3세대에서 1세대의 피죤 계열과 유사한 포지션인 스왈로는 눈에 띄는 장점을 갖추지 못했습니다. 낮은 종족값으로 인해 이중 STAB를 활용해도 기술 조합에서 큰 시너지를 내기 어려운 편입니다.

PVP
스왈로의 PvP에서는 날개치기로 에너지를 모아 불새나 브레이브버드로 큰 피해를 주는 방식입니다. 내구력이 낮아 오래 버티긴 어렵지만, 빠른 템포와 강한 일격으로 상대를 흔들 수 있습니다. 실드 상황에 따라 성능이 좌우되나, 적절히 활용하면 의외의 역전도 가능합니다.
추천 기술 조합
날개치기 + 불새 + 브레이브버드
먼저 날개치기는 STAB와 높은 에너지 수급량을 갖추고 있어 대부분의 상황에서 강철날개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입니다. 불새는 게임 내에서 비행타입 차지 기술 중 최상급으로 평가받아, 스왈로가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핵심 스킬입니다. 다른 차지 기술에는 특별한 이점이 없어 굳이 두 번째 차지 기술을 해방하지 않아도 되지만, 더 강력한 화력을 원한다면 브레이브버드를 통해 단숨에 높은 대미지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단, 에너지 소모와 효율이 떨어져 신중히 써야 합니다.
리그 순위 (PVP)
슈퍼 리그 (Great League)
[평점: ★☆☆☆☆ (1/5)]
슈퍼 리그에서는 비행타입이 여러 종이 경쟁하는 환경 속에서, 스왈로는 내구도가 낮고 대응 범위를 넓혀줄 기술이 부족해 크게 주목받지 못합니다. 노말타입 덕분에 고스트 공격을 이중으로 막을 수 있어 하운터나 알로라식 머드샤또(알로라 마리치) 같은 일부 고스트를 잡아내긴 하지만, 이 정도로 활용도를 높이기에는 아쉬운 편입니다. 노말/비행타입을 찾고 있다면, 더 높은 내구력과 추가 기술폭을 가진 야부엉이 대부분 우선됩니다. (슈퍼리그 687위)
하이퍼 리그 (Ultra League)
[평점: ☆☆☆☆☆ (0/5)]
하이퍼 리그에서는 최대 CP가 1920으로, 리그 제한치에도 닿지 못합니다. 이로 인해 화력과 내구가 모두 부족해 경쟁력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이퍼리그 -위)
마스터 리그 (Master League)
[평점: ☆☆☆☆☆ (0/5)]
마스터 리그에서는 훨씬 높은 CP를 가진 드래곤 계열 포켓몬들과 맞서기 어렵습니다. CP 격차가 크게 벌어져 사실상 실전 채용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보입니다. (마스터리그 -위)
레이드 / 체육관 (PVE)

스왈로는 레이드와 체육관에서 날개치기와 불새 구성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비행타입 보너스로 빠른 DPS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날개치기는 에너지를 빠르게 축적하고 불새는 준수한 대미지를 가해 단기 전투에도 강점을 보입니다. 그러나 종족값 자체가 높지 않아 강력한 보스 포켓몬 상대로는 화력이 부족하기에, 보통 중하위권 티어로 평가되는 편입니다. 만약 더 강력한 비행타입 포켓몬이 있다면 우선순위가 밀릴 수 있으나, 취향이나 애정으로 스왈로를 선택한다면 의외로 빠른 공격 템포로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필드 100 스왈로 (CP테이블)
LVL | Max CP | LVL | Max CP | LVL | Max CP |
1 | 27 CP | 2 | 85 CP | 3 | 143 CP |
4 | 201 CP | 5 | 259 CP | 6 | 316 CP |
7 | 374 CP | 8 | 432 CP | 9 | 490 CP |
10 | 548 CP | 11 | 603 CP | 12 | 658 CP |
13 | 713 CP | 14 | 768 CP | 15 | 823 CP |
16 | 877 CP | 17 | 932 CP | 18 | 987 CP |
19 | 1042 CP | 20 | 1097 CP | 21 | 1152 CP |
22 | 1206 CP | 23 | 1261 CP | 24 | 1316 CP |
25 | 1371 CP | 26 | 1426 CP | 27 | 1481 CP |
28 | 1536 CP | 29 | 1591 CP | 30 | 1645 CP |
31 | 1673 CP | 32 | 1700 CP | 33 | 1728 CP |
34 | 1755 CP | 35 | 1783 CP | 36 | 1810 CP |
37 | 1837 CP | 38 | 1865 CP | 39 | 1892 CP |
40 | 1920 CP | 41 | 1944 CP | 42 | 1969 CP |
43 | 1993 CP | 44 | 2018 CP | 45 | 2043 CP |
46 | 2068 CP | 47 | 2094 CP | 48 | 2119 CP |
49 | 2145 CP | 50 | 2170 CP |
총평

PVP
스왈로의 PvP 운용은 날개치기로 에너지를 모아 불새나 브레이브버드로 큰 피해를 주는 형태입니다. 내구력이 낮아 장기전에 약하지만, 빠른 공격 템포로 상대를 압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외의 활약을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실드 상황에 따라 변수가 크지만, 적절한 타이밍에 강력한 기술을 꽂으면 역전도 가능하다는 점이 스왈로의 매력입니다.
PVE
스왈로는 날개치기+불새로 레이드와 체육관에서 빠른 화력을 낼 수 있으나, 종족값이 낮아 상위 포켓몬 대비 경쟁력이 떨어집니다. 그래도 비행타입 보너스로 DPS를 빠르게 누적할 수 있어 보조 요원으로 쓸 만합니다. 최적 성능은 아니어도, 애정으로 운용하면 충분히 즐길 수 있습니다.
PVP / PVE 모두 별의 모래를 쓰지 않는 것을 추천하긴 합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