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알아볼 포켓몬은 껍질몬입니다.
껍질몬는 벌레, 고스트 속성을 가진 포켓몬으로 진화한 형태는 따로 없습니다.
껍질몬 진화
거리=사탕 : 5km=1개
해방 비용 : 별의모래 75,000개, 사탕 75개
색이 다른 껍질몬 이로치는 약간 밝아집니다.
껍질몬(Shedinja) 스펙
껍질몬 | |
속성 | 벌레, 고스트 |
공격 | 153 |
방어 | 73 |
체력 | 1 |
최대CP (100) | 393(레벨 40) 445(레벨 50) |
약점 속성 | (2.56배) 비행, 바위, 고스트, 불꽃, 악 (1.6배) |
강점 속성 | 독, 땅, 벌레, 풀 (0.63배) 노말 (0.39배) |
노말 어택 (* : 레거시) | 벌레먹기, 섀도클로, 벌레의저항*, 물기 |
스페셜 어택 (* : 레거시) | 구멍파기, 제비반환, 야습 |
날씨 부스트 | 비, 안개 |
● 껍질몬 100
날씨 부스트 안 받을 때(레벨20) - CP 224
날씨 부스트 받을 때(레벨25) - CP 281
껍질몬 졸업스킬
● 껍질몬 졸업스킬
졸업 스킬 | 노말 어택 | 스페셜 어택 |
레이드 / 체육관 PVE | 벌레먹기 | 구멍파기 |
리그 PVP | 벌레먹기 | 구멍파기, 제비반환 |
PVE
껍질몬은 벌레먹기와 구멍파기 조합으로 제한적이지만 꽤 빠른 화력을 낼 수 있습니다. 다만 체력이 1이라 한 번만 공격받아도 쓰러지는 극단적 약점을 지녔기에 안정성이 매우 떨어집니다. 운이 좋다면 특정 적에게 잠깐 화력을 뽑아낼 수 있으나, 보통은 딜레이 없이 쓰러지기 쉽기 때문에 실전에서 높은 DPS를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공격 기술
고유 능력이 없다면, 껍질몬은 빠른 공격을 몇 번 넣기조차 어렵습니다. 그래도 기술들을 비교해보면, 섀도클로와 제비반환 조합이 중립 상대에 대한 DPS가 가장 높습니다. 한두 가지 빠른 기술만 사용하는 포켓몬이라면, 섀도클로는 꼭 챙길 만합니다. 또 섀도클로와 야습 조합은 에스퍼와 고스트 타입에 동시에 강점을 지닙니다. 벌레먹기와 제비반환은 풀타입에 유리하며, 노말타입이 많은 디펜더에게 섀도클로가 막히기 쉬우니 체육관 공략에는 이 구성도 괜찮습니다. 다만 껍질몬의 차지 기술은 전반적으로 낮은 성능을 보이며, 구멍파기는 특히 활용도가 떨어집니다. 게다가 레거시 기술인 물기와 벌레의저항도 비레거시 기술보다 훨씬 뒤처집니다.
방어 기술
방어 측면에서 벌레먹기가 껍질몬의 최적 빠른 기술이며, 섀도클로와 벌레의저항도 가능하긴 합니다. 차지 기술은 제비반환이나 야습이 제법 유용하게 꼽히지만, 체력이 1인 껍질몬을 방어에 두는 것 자체가 실용적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껍질몬을 수비에 전혀 쓰지 않는 것이 최선이라는 평가가 있지요.
PVE 총평
원작에서 껍질몬은 원더가드라는 특수 능력으로, 비행·바위·고스트·불꽃·악처럼 매우 효과적인 공격에만 피해를 입는 독특함이 있었습니다. 만약 이 능력이 그대로 포켓몬고에 적용된다면 TDO 계산에 엄청난 변수가 될 터이지만, 현재로선 포켓몬고에서 가장 취약한 존재 중 하나가 되었지요. 사실 이 점도 나름 놀랍습니다. 솔직히 바라는 건 그림자 껍질몬의 등장입니다. 방어력 감쇠는 별 의미가 없고, 공격력 증가로 빠른 기술 한 번이라도 제대로 쓰고 쓰러지면 그나마 존재감을 발휘할 것 같기 때문입니다.
PVP
껍질몬은 벌레먹기, 구멍파기, 제비반환을 조합해도 안정된 성능을 내기 어렵습니다. 벌레타입 빠른 공격으로 풀·악타입을 견제할 수 있지만, 체력이 1이라는 치명적인 한계 때문에 공격을 몇 차례 맞는 순간 그대로 쓰러집니다. 상대의 기술을 회피하거나 변칙 운영을 노리지 않는 이상 승산이 거의 없어, 실전에서 보기 드뭅니다.
추천 기술 조합
껍질몬은 PVP에서 전혀 쓸 수 없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그래서 추천 기술 또한 없습니다.
리그 순위 (PVP)
슈퍼 리그 (Great League)
[평점: ☆☆☆☆☆ (0/5)]
슈퍼리그에서 조차 껍질몬은 PVP에 기용할 수 없습니다.
하이퍼 리그 (Ultra League)
[평점: ☆☆☆☆☆ (0/5)]
슈퍼리그에서도 사용 못하는 껍질몬은 하이퍼리그 PVP에 기용할 수 없습니다.
마스터 리그 (Master League)
[평점: ☆☆☆☆☆ (0/5)]
슈퍼리그, 하이퍼리그도 못끼는 껍질몬은 마스터리그 PVP에도 기용할 수 없습니다.
레이드 / 체육관 (PVE)
껍질몬은 레이드나 체육관에서 벌레먹기와 구멍파기를 채택하는데, 벌레먹기의 준수한 DPT와 구멍파기의 특정 상대 유효타 때문입니다. 하지만 체력이 1이라 조금만 공격받아도 기절하기에, 실제 활용성은 거의 없습니다. 티어 역시 최하위권이며, 변칙 전술을 쓰지 않으면 실전 운용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설령 상대가 방심하더라도 한 번의 공격이면 쓰러질 위험이 높아, 레이드나 체육관에서는 유희적인 용도로 간혹 쓰일 뿐입니다. (벌레, 악 속성 3티어 미만)
필드 100 껍질몬 (CP테이블)
LVL | Max CP | LVL | Max CP | LVL | Max CP |
1 | 5 CP | 2 | 17 CP | 3 | 29 CP |
4 | 41 CP | 5 | 53 CP | 6 | 64 CP |
7 | 76 CP | 8 | 88 CP | 9 | 100 CP |
10 | 112 CP | 11 | 123 CP | 12 | 135 CP |
13 | 146 CP | 14 | 157 CP | 15 | 168 CP |
16 | 179 CP | 17 | 191 CP | 18 | 202 CP |
19 | 213 CP | 20 | 224 CP | 21 | 236 CP |
22 | 247 CP | 23 | 258 CP | 24 | 269 CP |
25 | 281 CP | 26 | 292 CP | 27 | 303 CP |
28 | 314 CP | 29 | 326 CP | 30 | 337 CP |
31 | 343 CP | 32 | 348 CP | 33 | 359 CP |
34 | 359 CP | 35 | 365 CP | 36 | 371 CP |
37 | 376 CP | 38 | 382 CP | 39 | 388 CP |
40 | 393 CP | 41 | 398 CP | 42 | 403 CP |
43 | 408 CP | 44 | 413 CP | 45 | 419 CP |
46 | 424 CP | 47 | 429 CP | 48 | 434 CP |
49 | 439 CP | 50 | 445 CP |
총평
PVP
껍질몬은 벌레먹기와 구멍파기로 일부 견제는 가능하나, 체력 1이라는 치명적 약점 탓에 안정성이 전혀 없습니다. 레이드나 체육관처럼 지속 전투가 필요한 환경에서도 취약하며, 한 번이라도 공격을 맞으면 곧바로 쓰러져 기회가 거의 없습니다. 결국 PVP에서 활용은 극도로 제한적입니다.
PVE
껍질몬은 벌레먹기와 구멍파기를 통해 제한적이지만 화력을 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체력이 1인 탓에 레이드나 체육관에서 거의 쓰이지 않으며, 티어도 최하위권입니다. 공격 성능은 나쁘지 않으나 일격에 쓰러질 위험이 커, 실전 활용성은 극히 낮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