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켓몬고/로켓단

[포켓몬고] 밀탱크 (졸업스킬, 리그순위, 티어, 진화)

by yum-yum 2025. 2. 22.
반응형

오늘 알아볼 포켓몬은 밀탱크입니다.

밀탱크는 노말 속성을 가진 포켓몬으로 진화한 형태는 따로 없습니다.

밀탱크 진화

 

 

거리=사탕 : 5km=1개

해방 비용 : 별의모래 75,000개, 사탕 75개

 

색이 다른 밀탱크 이로치는 하늘색이군요.

 

밀탱크(Miltank) 스펙

 

 

 밀탱크
속성  노말
공격  157
방어  193
체력  216
최대CP (100) 2,354(레벨 40)
2,662(레벨 50)
약점 속성 (2.56배)
격투 (1.6배)
강점 속성 (0.63배)
고스트 (0.39배)
노말 어택 (* : 레거시)  몸통박치기, 사념의박치기, 구르기
스페셜 어택 (* : 레거시)  짓밟기, 누르기, 자이로볼, 냉동빔, 10만볼트
날씨 부스트 약간구름

● 밀탱크 100

날씨 부스트 안 받을 때(레벨20) - CP 1,345

날씨 부스트 받을 때(레벨25) - CP 1,682

 

 

밀탱크 졸업스킬

 

● 밀탱크 졸업스킬

졸업 스킬 노말 어택 스페셜 어택
레이드 / 체육관 PVE  몸통박치기  누르기
리그 PVP  구르기  누르기, 냉동빔

 

PVE

  밀탱크는 PVE에서 몸통박치기를 통해 비교적 빠른 에너지 수급과 무난한 딜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사옵니다. 여기에 누르기가 결합되어, 일반 속성의 꾸준한 화력 누적이 가능해집니다. 상황에 따라선 다른 보조 스페셜 기술도 선택 가능하지만,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누르기를 추천드립니다. 레이드에서 큰 타격은 어렵지만 약점이 적어 무난합니다.

 

공격 기술

태클은 무난한 화력에 적합하나 초과 대미지를 노리긴 어렵습니다. 사념의박치기는 선택지 중 최악이며, 구르기는 냉동빔과 함께 비행형 방어 포켓몬을 상대할 때 유리합니다. 10만볼트는 밀탱크에게서 효율이 떨어지는 기술입니다. 누르기는 좋은 노말 STAB을 제공하나, 초효과 배율을 받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방어 기술

사념의박치기는 태클보다 공격·커버 범위·에너지 효율 모두 우수하여 방어 시 좀 더 낫습니다. 구르기은 격투 타입 공격수에게 막히기 쉬워서 방어에는 추천되지 않습니다. 누르기는 스톰프와 비슷하지만 에너지 소모가 낮아 밀탱크에게 가장 유리한 차지 기술입니다. 냉동빔은 특정 공격수를 견제하기 좋고, 10만볼트는 그보다 조금 떨어집니다. 자이로볼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PVE 총평

밀탱크는 미니 잠만보 느낌으로, 약점이 적고 누르기를 자주 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메타에서 중요한 포켓몬들에 비해 종족값과 타입 모두 다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같은 CP라면 잠만보와 비슷한 버팀 역할을 하겠지만, 부화나 레이드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잠만보 쪽이 즉시 활용성 면에서 우위라 하겠습니다.

 

PVP

  밀탱크의 PVP 운용에서는 구르기가 빠른 차징을 가능케 하여 이점을 줍니다. 이어서 누르기냉동빔을 선택하면 범용성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격투 기술에 취약한 점은 여전히 부담스럽지만, 다양한 속성과 맞붙을 때 안정적인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사옵니다. 실전에서 운용 시도, 의외의 역전도 가능하겠습니다.

추천 기술 조합

구르기 + 누르기 & 냉동빔 혹은 10만볼트
구르기의 추가로 밀탱크는 PVP에서 어느 정도 활약 여지를 얻었습니다. 빠르게 에너지를 모아 차지 기술을 자주 쓸 수 있지만, 그 자체 대미지는 낮습니다. 누르기는 우수해 필수적입니다. 냉동빔10만볼트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는 상대에 따라 달라집니다. 냉동빔이면 이상해꽃·파비코리를 노릴 수 있고, 10만볼트면 알로라식스테일이나 물속성 상대로 좋습니다. 다만 격투 내성이나 추가 기능이 없는 점이 한계입니다.

 

리그 순위 (PVP)

 

슈퍼 리그 (Great League)

[평점: ★★★☆☆ (3.5/5)]

구르기가 추가되면서 밀탱크의 위상이 크게 오를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실제 메타 공략에는 아직 부족함이 있습니다. 냉동빔과 10만볼트 중 하나를 택해야 하며, 각각 다른 상대를 노릴 수 있으나 동시에 커버하는 범위가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냉동빔은 이상해꽃을 잡기 위해 필요하지만, 10만볼트가 있어야 물타입 포켓몬을 효과적으로 상대할 수 있습니다. 유틸성 옵션도 부족하고, 테오키스(디펜스폼) 같은 격투 성향을 지닌 포켓몬에게 약한 점도 여전합니다. (슈퍼리그 59위)

하이퍼 리그 (Ultra League)

[평점: ★★★☆☆ (3.5/5)]

냉동빔 채용 시 드래곤숨을 사용하는 기라티나(오리지널) 계열과 의외로 대등하게 싸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교 대상인 요씽리스는 같은 역할을 수행하면서 악의파동 같은 더 저렴한 에너지를 쓰며 추가 효과도 노릴 수 있어 약간 우위에 있습니다. (하이퍼리그 54위[XL])

마스터 리그 (Master League)

[평점: ☆☆☆☆☆ (0/5)]

마스터 리그에서는 고스펙 포켓몬들이 즐비하여, 밀탱크로 상대의 승리를 ‘착유’해 주기 쉬운 환경입니다.

 

 

 

레이드 / 체육관 (PVE)

 

 

밀탱크가 레이드나 체육관에서 활용될 때에는 몸통박치기누르기 구성으로 기본적인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사옵니다. 이 조합은 노말 속성간의 상성 문제로 인해 초강력한 공격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다양한 상황에 두루 적용 가능한 편입니다. 몸통박치기는 빠른 모션과 무난한 데미지를 가지고 있어, 지속적으로 게이지를 축적해 빠르게 누르기를 발동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처럼 공격용으로는 다소 아쉬우나, 티어는 중간 정도로 분류 가능하며 방어형 배치 시에는 의외로 괜찮은 내구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격투 상대로는 조심합시다. 종합하자면 최상위권에 비해 부족하지만, 무난한 선택지라 하겠습니다.

 

필드 100 밀탱크 (CP테이블)

 

LVL Max CP LVL Max CP LVL Max CP
1 33 CP 2 104 CP 3 175 CP
4 246 CP 5 317 CP 6 388 CP
7 459 CP 8 530 CP 9 601 CP
10 673 CP 11 740 CP 12 807 CP
13 874 CP 14 942 CP 15 1009 CP
16 1076 CP 17 1143 CP 18 1211 CP
19 1278 CP 20 1345 CP 21 1412 CP
22 1480 CP 23 1547 CP 24 1614 CP
25 1682 CP 26 1749 CP 27 1816 CP
28 1883 CP 29 1951 CP 30 2018 CP
31 2052 CP 32 2085 CP 33 2119 CP
34 2153 CP 35 2186 CP 36 2220 CP
37 2253 CP 38 2287 CP 39 2321 CP
40 2354 CP 41 2384 CP 42 2414 CP
43 2445 CP 44 2475 CP 45 2506 CP
46 2536 CP 47 2567 CP 48 2599 CP
49 2630 CP 50 2662 CP    

 

총평

 

 

PVP

 밀탱크는 노말 속성이기에 극적인 공격 효율은 다소 부족하오나, 몸통박치기누르기를 중심으로 PVE 전투에서 꾸준한 화력을 보여줄 수 있사옵니다. 레이드나 체육관에서도 빠른 게이지 수급과 안정적인 대미지로 중간 티어 정도의 역할을 무난히 수행합니다. 특히 격투만 조심하면, 큰 약점 없이 시간을 벌며 누적 피해를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PVE

 밀탱크는 구르기로 빠른 차지 능력을 보여주어, PVP에서 의외의 견제력을 갖출 수 있사옵니다. 이어지는 누르기냉동빔은 상황별 대처 범위를 넓히지만, 격투 타임에 취약한 단점은 여전합니다. 그렇지만 적절한 교대와 함께 운영하면 충분히 경쟁력을 발휘하며, 예상치도 못한 승부를 만들어 낼 수 있으니 시도할 만하겠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