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알아볼 포켓몬은 어지리더입니다.
어지리더는 벌레 속성을 가진 포켓몬으로 쪼마리가 진화한 형태입니다.
어지리더 진화
쪼마리 -> 어지리더 (사탕 200개)
거리=사탕 : 3km=1개
해방 비용 : 별의모래 50,000개, 사탕 50개
색이 다른 쪼마리 이로치는 노란색입니다.
색이 다른 어지리더 이로치는 오랜지색과 핑크색의 조합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지리더(Accelgor) 스펙
어지리더 | |
속성 | 벌레 |
공격 | 220 |
방어 | 120 |
체력 | 190 |
최대CP (100) | 2,441(레벨 40) 2,760(레벨 50) |
약점 속성 | (2.56배) 비행, 바위, 불꽃 (1.6배) |
강점 속성 | 격투, 땅, 풀 (0.63배) (0.39배) |
노말 어택 (* : 레거시) | 용해액, 엉겨붙기, 물수리검 |
스페셜 어택 (* : 레거시) | 벌레의야단법석, 시그널빔, 기합구슬, 애시드봄, 에너지볼* |
날씨 부스트 | 비 |
● 어지리더 100
날씨 부스트 안 받을 때(레벨20) - CP 1,395
날씨 부스트 받을 때(레벨25) - CP 1,744
어지리더 졸업스킬
● 어지리더 졸업스킬
졸업 스킬 | 노말 어택 | 스페셜 어택 |
레이드 / 체육관 PVE | 엉겨붙기 | 벌레의야단법석 |
리그 PVP | 엉겨붙기 | 시그널빔, 기합구슬 |
PVE
어지리더는 PVE에서 엉겨붙기와 벌레의야단법석을 채용했을 때 가장 높은 DPS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엉겨붙기는 빠른 에너지 생성률을 제공하여 벌레의야단법석 충전에 유리하며, 벌레타입 공격에 특화된 위력을 보여줍니다. 다만 동일한 벌레타입이면서 스탯이나 기술 구성이 더 우수한 경쟁자들이 존재하여, 상위권 딜러로 활약하기에는 다소 제한적입니다.
공격 기술
어지리더가 사용할 수 있는 빠른 기술 중에서는 엉겨붙기가 가장 우수하며, 벌레타입 보너스로 더 많은 대미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용해액은 위력이 낮고 STAB를 받지 못해 비효율적입니다. 벌레의야단법석은 시그널빔보다 조금 더 높은 화력을 갖지만, 그 격차가 엄청나진 않습니다. 기합구슬이나 물수리검은 여기서는 시너지가 좋지 않으며, 애시드봄은 주로 PVP에서 사용됩니다.
방어 기술
방어 시에는 물수리검이 엉겨붙기와 비슷한 효율을 보이면서도 바위나 불꽃 같은 어지리더의 약점을 견제하기에 유리하여 가장 좋은 수비용 노말 어택으로 평가됩니다. 엉겨붙기 역시 벌레타입 보너스와 준수한 방어 스탯을 보유하지만, 용해액은 STAB가 없어 효율이 떨어집니다. 벌레의야단법석은 시그널빔보다 화력은 높으나, 두 기술 모두 비슷한 공격 타이밍을 가집니다. 기합구슬은 방어에서 너무 느린 편이며, 애시드봄은 PVP용으로 설계된 기술입니다.
PVE 총평
어지리더는 외형상 빠르고 강력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스탯과 기술 구성이 아쉬워서 메타에서 높은 평가를 받긴 어렵습니다. 벌레타입 자체가 공격 면에서 큰 이점을 가지지 못하는 점도 한계입니다. 결국 도감 채우기 용도에 가까우며, 추후 더 강력한 기술이 부여되지 않는 한 현 시점에서는 제한적인 역할만 기대할 수 있습니다.
PVP
어지리더의 엉겨붙기는 빠른 에너지 충전이 가능하여 PVP에서 유리합니다. 시그널빔은 벌레타입으로 안정적인 대미지를 노릴 수 있고, 기합구슬은 강력한 커버리지를 제공하여 바위나 강철 등 까다로운 상성에 대처할 수 있습니다. 이 둘을 조합하면 상대 실드를 빼기에도 좋으며, 단시간에 충분한 압박을 줄 수 있습니다.
추천 기술 조합
엉겨붙기 + 시그널빔 + 기합구슬
엉겨붙기는 느린 차징 기술을 빠르게 보완할 정도로 높은 에너지 생성률을 지녔고, 벌레타입 보너스도 누릴 수 있습니다. 시그널빔은 벌레의야단법석보다 소모 에너지가 조금 적어서 안정적으로 발동하기 용이합니다. 기합구슬은 메타에서 중요한 견제 수단이지만 에너지 요구량이 꽤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애시드봄은 가장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지만, 대미지 기댓값이 낮아 실드가 없는 상황에서만 제한적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리그 순위 (PVP)
슈퍼 리그 (Great League)
[평점: ☆☆☆☆☆ (0/5)]
어지리더는 벌레 단일 속성 포켓몬으로서, PVP에서 효율적인 기술 구성이 부족하여 에너지 소모와 위력 면에서 손해를 보는 편입니다. 또한 공격 대비 방어가 낮아 내구력이 부족하다는 단점으로 슈퍼 리그에서 안정적으로 활약하기 어렵습니다. (슈퍼리그 940위)
하이퍼 리그 (Ultra League)
[평점: ☆☆☆☆☆ (0/5)]
앞서 언급된 이유들로 인해 하이퍼 리그에서도 활약이 쉽지 않습니다. 벌레타입 공격 자체는 악이나 풀 같은 상대에 유리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높은 에너지 요구량과 낮은 방어 성능이 한계를 명확히 드러냅니다. (하이퍼리그 693위)
마스터 리그 (Master League)
[평점: ☆☆☆☆☆ (0/5)]
마스터 리그는 드래곤이나 다양한 전설 포켓몬이 즐비하기 때문에, 벌레타입인 어지리더가 이들과 맞서기에는 무리가 많습니다. 강력한 상대가 가득한 환경에서 어지리더는 돋보일 만한 특징이 부족한 편입니다. (마스터리그 614위)
레이드 / 체육관 (PVE)
어지리더는 레이드나 체육관에서 엉겨붙기와 벌레의야단법석을 사용하면 벌레타입 시너지를 살려서 준수한 대미지를 낼 수 있습니다. 엉겨붙기는 빠른 에너지 충전 속도를 지녀, 스페셜 어택을 자주 발동할 수 있게 해주므로 누적 딜에 강점이 있습니다. 벌레의야단법석은 벌레타입 중에서도 위력계수가 높은 편이므로, 약점을 찌르는 적에게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어지리더 자체는 내구도가 그리 높지 않아서 지속 전투에 한계가 있으며, 벌레타입이 약점을 찔릴 수 있는 대표적인 속성(불꽃, 비행 등)을 만나면 쉽게 쓰러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중간 이하 티어에서 상황에 따라 활용 가치가 있는 포켓몬으로 평가됩니다.(벌레 속성 3티어)
필드 100 어지리더 (CP테이블)
LVL | Max CP | LVL | Max CP | LVL | Max CP |
1 | 34 CP | 2 | 108 CP | 3 | 181 CP |
4 | 255 CP | 5 | 329 CP | 6 | 403 CP |
7 | 476 CP | 8 | 550 CP | 9 | 624 CP |
10 | 697 CP | 11 | 767 CP | 12 | 837 CP |
13 | 907 CP | 14 | 976 CP | 15 | 1046 CP |
16 | 1116 CP | 17 | 1186 CP | 18 | 1255 CP |
19 | 1325 CP | 20 | 1395 CP | 21 | 1465 CP |
22 | 1534 CP | 23 | 1604 CP | 24 | 1674 CP |
25 | 1744 CP | 26 | 1813 CP | 27 | 1883 CP |
28 | 1953 CP | 29 | 2023 CP | 30 | 2093 CP |
31 | 2127 CP | 32 | 2162 CP | 33 | 2197 CP |
34 | 2232 CP | 35 | 2267 CP | 36 | 2302 CP |
37 | 2337 CP | 38 | 2371 CP | 39 | 2406 CP |
40 | 2441 CP | 41 | 2472 CP | 42 | 2503 CP |
43 | 2535 CP | 44 | 2566 CP | 45 | 2598 CP |
46 | 2630 CP | 47 | 2662 CP | 48 | 2695 CP |
49 | 2727 CP | 50 | 2760 CP |
총평
PVP
어지리더의 PVP 운용은 엉겨붙기의 빠른 에너지 수급을 기반으로 시그널빔과 기합구슬을 활용해 다양한 상성에 대응하는 전략입니다. 공격력은 좋은 편이지만 내구력이 떨어지는 편이어서 방어적으로는 취약합니다. 실드 운영이 중요하며, 벌레타입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팀 구성이 함께 준비되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팀 구성이 좋지 않다면 리그에서 사용하기에 추천되는 포켓몬은 아닙니다.
PVE
어지리더는 벌레타입 공격을 기반으로 엉겨붙기와 벌레의야단법석 조합 시 안정적인 대미지를 낼 수 있지만, 내구력 부족과 한정된 활용 범위로 최상위권 포켓몬과 경쟁하기에는 많이 아쉽습니다. 레이드나 체육관에서도 중간보다 못한 활약을 보이겠으나, 팀 구성과 상대 속성에 따라 최적의 효율을 낼지는 상황에 좌우됩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