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알아볼 포켓몬은 산호르곤입니다.
산호르곤은 고스트 속성을 가진 포켓몬으로 가라르 코산호가 진화한 형태입니다.
산호르곤 진화
가라르 코산호 -> 산호르곤 (사탕 50개)
거리=사탕 : 3km=1개
해방 비용 : 별의모래 50,000개, 사탕 50개
색이 다른 가라르 코산호 이로치는 조금 어두워집니다.
색이 다른 산호르곤 이로치는 얼굴하고 화분?이 검은색입니다.
산호르곤(Cursola) 스펙
산호르곤 | |
속성 | 고스트 |
공격 | 253 |
방어 | 182 |
체력 | 155 |
최대CP (100) | 3,063(레벨 40) 3,463(레벨 50) |
약점 속성 | 고스트, 악 (1.6배) |
강점 속성 | 독, 벌레 (0.63배) 노말, 격투 (0.39배) |
노말 어택 (* : 레거시) | 놀래키기, 몸통박치기 |
스페셜 어택 (* : 레거시) | 파워젬, 록블라스트, 나이트헤드 |
날씨 부스트 | 안개 |
● 산호르곤 100
날씨 부스트 안 받을 때(레벨20) - CP 1,312
날씨 부스트 받을 때(레벨25) - CP 2,188
산호르곤 졸업스킬
● 산호르곤 졸업스킬
졸업 스킬 | 노말 어택 | 스페셜 어택 |
레이드 / 체육관 PVE | 놀래키기 | 나이트헤드 |
리그 PVP | 놀래키기 | 나이트헤드, 파워젬 |
PVE
산호르곤은 놀래키기와 나이트헤드를 함께 사용할 때, 짧은 시간 안에 가장 높은 DPS를 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기술의 빠른 시전 속도와 적절한 에너지 소모가 결합되어 안정적인 화력을 이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고스트타입 내에서 경쟁자가 많고 내구도가 낮아,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약점 속성이 뚜렷하여 불리한 상성과 마주쳤을 때는 쉽게 쓰러질 수 있습니다.
공격 기술
공격 측면에서 산호르곤이 가치 있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세트는 놀래키기와 나이트헤드밖에 없습니다. 파워젬, 몸통박치기, 록블라스트는 공격 효율 면에서 거의 쓸모가 없다고 평가됩니다.
방어 기술
방어 상황에서는 놀래키기가 몸통박치기보다 더 빠른 속도로 상대를 제압합니다. 록블라스트는 비교적 자주 발동되어 범용성이 괜찮은 편입니다. 파워젬은 중간 정도의 위력을 지녔지만 모션이 길어 쉽게 회피되며, 나이트헤드는 굳이 쓸 필요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PVE 총평
산호르곤은 뛰어난 고스트타입 포켓몬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공격력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부실한 기술 배치 때문에 발목이 잡히는 편입니다.
PVP
산호르곤이 PVP에서 놀래키기를 채택하는 이유는, 고스트타입 STAB 덕분에 양호한 충전 속도를 확보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이어지는 나이트헤드는 비교적 낮은 에너지 소모로 빠르게 큰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상대를 제압하는 데 유리합니다. 추가로 파워젬을 함께 채용하면 악타입 등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어, 상대에 따라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추천 기술 조합
놀래키기 + 나이트헤드 + 파워젬
먼저 놀래키기는 몸통박치기보다 훨씬 뛰어난 데다 고스트타입 보너스를 받아 더 효율적입니다. 나이트헤드는 요구 에너지가 적당히 낮으면서도 준수한 데미지 효율을 보여주기 때문에 산호르곤의 주력 공격으로 자리 잡습니다. 파워젬은 고스트에 저항을 보유한 상대에 대한 추가 커버리지를 제공하며, 무난한 DPE를 갖고 있습니다. 록블라스트는 에너지 소모가 적지만 대미지가 낮은 편이라, 몸이 약한 산호르곤이 상황에 따라 보조적으로 선택할 만합니다.
리그 순위 (PVP)
슈퍼 리그 (Great League)
[평점: ☆☆☆☆☆ (0/5)]
만약 특별한 방법으로 슈퍼 리그용 산호르곤을 얻더라도, 굳이 활용할 가치는 높지 않습니다. 진화 전인 가라르 코산호와 달리 공격적인 종족값 탓에 내구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깜까미, 둥실라이드, 그리고 가라르 코산호 같은 다른 고스트타입이 훨씬 유리하므로, 이 구간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하이퍼 리그 (Ultra League)
[평점: ★☆☆☆☆ (1/5)]
하이퍼 리그에서도 산호르곤은 슈퍼 리그 때와 마찬가지로 낮은 내구도와 다른 고스트타입과의 경쟁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 리그에서는 깜까미나 가라르 코산호는 보기 어렵지만, 기라티나, 둥실라이드, 골루그 같은 강적들이 여전히 버티고 있어 입지를 세우기 쉽지 않습니다.
마스터 리그 (Master League)
[평점: ★★☆☆☆ (1.5/5)]
마스터 리그에서도 산호르곤은 슈퍼 리그, 하이퍼 리그와 같은 취약점을 그대로 이어갑니다. 내구도가 부족하고, 고스트타입 경쟁자가 너무 많아 활약하기 어렵습니다. 깜까미와 가라르 코산호는 이 구간에서 덜 보이지만, 기라티나, 둥실라이드, 골루그 등 강력한 선택지가 있어 산호르곤의 자리는 극히 제한적입니다.
레이드 / 체육관 (PVE)
레이드와 체육관 공격에서 산호르곤은 놀래키기를 노말 어택으로, 나이트헤드를 스페셜 어택으로 삼아 운용합니다. 먼저 놀래키기를 통해 에너지를 빠르게 모은 뒤, 나이트헤드로 준수한 대미지를 지속적으로 누적하는 방식입니다. 놀래키기는 고스트타입 보너스를 받아 빠른 속도로 대미지를 쌓기 좋고, 나이트헤드는 낮은 에너지 소모량으로 적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산호르곤은 내구도가 상당히 약하고, 다른 고스트타입 포켓몬인 팬텀과 비교했을 때 기술 폭이 좁아 높은 티어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중간 이하 정도로 평가되며, 특정 상황에서 예비 선택지로 쓸 만한 수준입니다. (3티어정도)
필드 100 산호르곤 (CP테이블)
LVL | Max CP | LVL | Max CP | LVL | Max CP |
1 | 43 CP | 2 | 135 CP | 3 | 228 CP |
4 | 320 CP | 5 | 413 CP | 6 | 505 CP |
7 | 598 CP | 8 | 690 CP | 9 | 783 CP |
10 | 875 CP | 11 | 962 CP | 12 | 1050 CP |
13 | 1137 CP | 14 | 1225 CP | 15 | 1312 CP |
16 | 1400 CP | 17 | 1487 CP | 18 | 1575 CP |
19 | 1662 CP | 20 | 1750 CP | 21 | 1837 CP |
22 | 1925 CP | 23 | 2012 CP | 24 | 2100 CP |
25 | 2188 CP | 26 | 2275 CP | 27 | 2363 CP |
28 | 2450 CP | 29 | 2538 CP | 30 | 2625 CP |
31 | 2669 CP | 32 | 2713 CP | 33 | 2757 CP |
34 | 2800 CP | 35 | 2844 CP | 36 | 2888 CP |
37 | 2931 CP | 38 | 2975 CP | 39 | 3019 CP |
40 | 3063 CP | 41 | 3102 CP | 42 | 3141 CP |
43 | 3180 CP | 44 | 3220 CP | 45 | 3260 CP |
46 | 3300 CP | 47 | 3340 CP | 48 | 3381 CP |
49 | 3421 CP | 50 | 3463 CP |
총평
PVP
산호르곤은 레이드와 체육관에서는 짧은 시간에 놀래키기와 나이트헤드로 적절한 대미지를 낼 수 있지만, 내구도 문제가 있어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경쟁 고스트타입이 많아 최상위권 성능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PVE
산호르곤은 PVP에서 놀래키기의 효율적인 에너지 충전과 나이트헤드의 빠른 타격을 기반으로 상대에게 압박을 가할 수 있습니다. 파워젬을 곁들이면 특정 상성에서 유리하지만, 얇은 내구도로 인해 강력한 라이벌이 많은 환경에서는 활용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파티 구성을 꼼꼼히 고려해야 하는 중하위권 포켓몬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