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알아볼 포켓몬은 덩쿨림보입니다.
덩쿨림보는 풀 속성을 가진 포켓몬으로 덩쿠리가 진화한 형태입니다.
덩쿨림보 진화
덩쿠리 -> 덩쿨림보 (사탕 100개, 신오의돌)
거리=사탕 : 3km=1개
해방 비용 : 별의모래 50,000개, 사탕 50개
색이 다른 덩쿠리 이로치는 초록색입니다.
색이 다른 덩쿨림보 이로치도 초록색입니다.
덩쿨림보(Tangrowth) 스펙
덩쿨림보 | |
속성 | 풀 |
공격 | 207 |
방어 | 184 |
체력 | 225 |
최대CP (100) | 3,030 (레벨 40) 3,425 (레벨 50) |
약점 속성 | 불꽃, 비행, 벌레, 독, 얼음 (1.6배) |
강점 속성 | 전기, 물, 풀, 땅 (0.63배) |
노말 어택 (* : 레거시) | 덩굴채찍, 엉겨붙기 |
스페셜 어택 (* : 레거시) | 원시의힘, 스톤샤워, 오물폭탄, 솔라빔, 파워힙 |
날씨 부스트 | 맑음 |
● 덩쿨림보 100
날씨 부스트 안 받을 때(레벨20) - CP 1,731
날씨 부스트 받을 때(레벨25) - CP 2,164
덩쿨림보 졸업스킬
● 졸업스킬
졸업 스킬 | 노말 어택 | 스페셜 어택 |
레이드 / 체육관 PVE | 덩굴채찍 | 파워힙 |
리그 PVP | 덩굴채찍 | 파워힙, 스톤샤워 |
* 커뮤데이 스킬(레거시)
PVE
풀 속성 조합인 덩굴채찍과 파워힙의 DPS가 가장 높습니다.
덩쿨림보는 괜찮은 풀 타입 공격수입니다. 하지만 그 이상의 성능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풀 타입이 꼭 필요하지만 더 좋은 선택지가 없다면 덩쿨림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격 기술
덩굴채찍은 STAB(같은 속성 보너스)를 적용받아 덩쿨림보의 가장 효율적인 노말 어택입니다. 엉겨붙기는 성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덩쿨림보의 풀 타입 역할과 시너지 효과가 없습니다. 파워힙은 STAB를 적용받으며 덩쿨림보의 스페셜 어택 중 가장 강력한 옵션으로, 2바 형태로 더욱 효율적입니다. 솔라빔은 이론적으로는 성능이 괜찮지만, 발동 속도가 느려 실제 사용 시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오물폭탄은 덩쿨림보에서 큰 활용도가 없습니다. 원시의힘은 PVE에서 덩쿨림보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방어 기술
엉겨붙기는 높은 기본 데미지와 다양한 타입 커버리지를 제공해 방어용으로 적합합니다. 덩굴채찍은 STAB 덕분에 방어용으로도 충분히 사용할 만합니다. 원시의힘은 다양한 타입 커버리지를 제공하며 3바 기술이라 유용하지만, 회피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오물폭탄은 빠른 발동과 넓은 커버리지로 방어용으로 가장 적합한 스페셜 어택입니다. 파워힙은 STAB 덕분에 괜찮은 선택이지만, 상대 타입에 대한 방어 커버리지는 부족합니다. 솔라빔은 발동 속도가 너무 느려 방어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VP
덩쿨림보는덩굴채찍으로 에너지 생성력을 높이고, 파워힙과 록 슬라이드를 활용해 광범위한 속성 대응이 가능합니다. 풀 속성 포켓몬으로 다양한 대전에서 안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추천 기술 조합
덩굴채찍 + 파워힙 + 스톤샤워 또는 오물폭탄
덩굴채찍은 스탯 면에서 엉겨붙기보다 우수하며, STAB 보너스를 받아 더욱 강력합니다. 파워힙은 에너지 소모가 적당하면서도 강력한 풀 타입 스페셜 어택으로, 덩쿨림보의 주요 공격 기술입니다. 스톤샤워는 에너지 소모가 적고, 덩쿨림보의 약점 중 4가지 타입(비행, 얼음, 벌레, 불꽃)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해 매우 유용합니다. 오물폭탄은 활용도가 낮지만, 페어리 타입과 상대 풀 타입 포켓몬을 상대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0년 4월 밸런스 조정 이후 원시의힘은 대미지 하락으로 인해 더 이상 경쟁력이 없으며, 스톤샤워가 더 나은 대미지를 제공합니다.
덩쿨림보 리그 순위 (PVP)
슈퍼 리그 (Great League)
평점: ★★☆☆☆ (2/5)
덩쿨림보는 단일 풀 타입 포켓몬으로 평균적인 내구도를 가집니다. 하지만 하드플랜트나 리프블레이드 같은 강력한 풀 타입 기술이 없어서 이 리그에서 더 인기 있는 풀 타입 포켓몬들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집니다. 특히 덩쿨림보의 타입 약점이 너무 뚜렷하여 메타에서 취약한 부분이 많습니다.
하이퍼 리그 (Ultra League)
평점: ★★☆☆☆ (2/5)
슈퍼 리그에서와 비슷한 이유로, 하이퍼 리그에서도 덩쿨림보는 주요 풀 타입 포켓몬으로 자리 잡기 어렵습니다. 기라티나와 레지스틸이 지배하는 하이퍼 리그 메타에서 덩쿨림보의 타입과 기술 조합은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합니다. 이를 통해 덩쿨림보는 특정 상황에서는 사용할 수 있지만, 메타에 밀려 자주 선택되지는 않습니다.
마스터 리그 (Master League)
평점: ☆☆☆☆☆ (0/5)
덩쿨림보의 최대 CP는 3030으로, 마스터 리그에서 사용하는 많은 전설의 포켓몬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특정 상황에서는 유용한 풀 타입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 마스터 리그 메타는 풀 타입 포켓몬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덩쿨림보는 효과적인 선택지가 아닙니다.
레이드 / 체육관 (PVE)
덩쿨림보는 레이드 및 체육관 콘텐츠에서 풀 속성 포켓몬으로 분류됩니다. 덩굴채찍과 파워힙 조합은 괜찮은 풀 속성 DPS를 제공하지만, 전반적으로 더 강력한 풀 타입 공격수가 많아 최상위 티어에 들지는 못합니다.
덩쿨림보는 특히 물, 바위, 땅 타입 포켓몬에 대해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강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풀 타입 포켓몬, 예를 들어 로즈레이드나 이상해꽃처럼 더욱 강력하고 효율적인 대안이 있어 덩쿨림보는 보조적인 선택지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덩쿨림보의 주된 역할은 레이드 초기 단계에서 플레이어가 강력한 풀 타입 포켓몬이 없을 때 대체 옵션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덩굴채찍과 파워힙을 가진 덩쿨림보는 2.5티어 풀 속성 공격수로 평가됩니다.
필드 덩쿠리 100 / 필드 덩쿨림보 100(CP테이블)
총평
PVP
덩쿨림보는 PVP에서 평균적인 성능을 가진 풀 속성 포켓몬입니다. 슈퍼 리그와 하이퍼 리그에서 일정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상위 메타 포켓몬들에 비해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특히, 강철과 비행 타입을 상대하기 어렵고, 메타 내 주요 포켓몬들과의 상성이 좋지 않아 선택 우선순위가 낮은 편입니다.
덩굴채찍과 파워힙 조합은 효율적인 에너지 생성과 적절한 공격력을 제공하지만, 하드플랜트 같은 강력한 풀 속성 스킬을 사용할 수 없는 점이 아쉬운 부분입니다. 덩쿨림보는 특정한 제한 포맷에서 활용 가능성이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상위 티어 풀 타입 포켓몬에 밀립니다.
PVE
덩쿨림보는 PVE 콘텐츠에서 중위 티어의 풀 타입 공격수로 평가됩니다. 덩굴채찍과 파워힙 조합은 물, 바위, 땅 타입 레이드 보스에 대해 강력한 대미지를 제공하지만, 같은 풀 속성 공격수인 로즈레이드나 토대부기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레이드에서 덩쿨림보를 사용할 경우 다른 강력한 풀 타입 포켓몬이 부족한 상황에서 보조적인 대안으로 적합합니다.
덩쿨림보는 PVE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기는 어렵지만, 초보 플레이어나 풀 타입 포켓몬이 부족한 팀에 유용한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댓글